Rehab_Info

신경계와 근골격계 질환 환자의 운동재활을 위한 관절운동과 스트레칭

REHAB INFO 2025. 2. 5. 08:00

 

 

신경계 및 근골격계 질환 환자의 운동재활은 기능적 능력을 향상시키고 독립적인 삶을 유지하는 데 핵심적인 역할을 합니다. 특히 질환으로 인해 발생하는 근육 약화와 관절 굳어짐을 줄이며 환자의 삶의 질을 향상시키는 데 도움을 줍니다. 이번 글에서는 이러한 환자들을 위한 관절운동스트레칭 방법에 대해 자세히 살펴보겠습니다.


관절운동의 중요성

관절운동은 신경계 및 근골격계 질환 환자들에게 매우 중요합니다. 특정 질환(예: 근육병, 루게릭병, 척수근위축증 등)은 시간이 지남에 따라 근육의 약화와 관절의 제한적인 움직임을 초래합니다. 이로 인해 관절이 굳거나 변형됨에 따라 일상활동도 제한될 위험이 있습니다.

정기적인 관절운동은 이러한 제한을 예방하고 환자의 보행 기능 유지근력 강화를 돕는 데 필수적인 역할을 합니다.

관절운동 적용 방법

  • 운동 유형: 환자의 근력과 상태에 따라 적합한 운동을 선택해야 합니다.
  • 능동운동(active range of motion): 환자가 스스로 관절운동을 수행하는 방식.
  • 능동보조운동(active-assisted range of motion): 보호자나 치료사의 보조로 운동을 수행.
  • 수동운동(passive range of motion): 환자가 스스로 움직이기 어려울 때 보호자나 치료사가 관절을 직접 움직여 줌.
  • 운동 주기와 횟수:
    하루 2회, 각 관절마다 10-15회씩 반복하여 시행합니다.
  • 운동 예시: 엉덩관절을 대상으로 하는 운동:
  • 환자가 등을 대고 누운 상태에서 한 손으로 발을 받치고, 다른 손으로 오금을 잡아 무릎을 가슴 방향으로 구부립니다.
  • 이때 약간의 불편감이 느껴지는 범위에서 관절을 움직이고, 15초 이상 유지한 후 천천히 원래 상태로 복귀합니다.

스트레칭의 중요성

스트레칭은 관절 주변 조직과 근육을 늘려 유연성을 증진시키고, 관절의 굳어짐을 개선하거나 예방하는 효과를 가지고 있습니다. 특히 유연성이 감소된 환자들의 근육 및 관절을 늘려 재활 효과를 높여줍니다.

스트레칭 수행 방법

  • 필요한 관절에 대해 하루 1회 이상, 각 동작을 10회 반복합니다.
  • 근육 유연성이 감소한 부위를 중심으로 천천히 동작을 이어나가며, 최대 움직임 범위에서 15초 이상 유지한 후 서서히 원래 위치로 돌아갑니다.
  • 관절가동범위(ROM)가 제한된 경우, 환자의 특정한 요구와 목적에 맞춰 스트레칭 방법을 개별화해야 합니다.

스트레칭 환경 조성

  • 스트레칭 전 온열요법을 함께 적용하면 더 효과적입니다.
    예를 들어, 뜨거운 찜질이나 따뜻한 물에서의 목욕 후 스트레칭을 시행하면 근육이 덜 뻣뻣해지고, 환자의 이완 상태가 향상됩니다.
  • 필요 시, 삼각대나 보조 도구를 활용해 보다 안전하고 편리하게 스트레칭할 수 있습니다.

통합 치료의 필요성

관절운동 및 스트레칭은 단독으로 사용되기보다는 다양한 치료 방법과 병행될 때 더욱 효과를 발휘합니다.

전기자극치료

  • 전기적 자극을 통해 상·하지 근육의 수축을 유도하는 치료법으로, 관절 및 근육 회복을 촉진할 수 있습니다.
  • 해당 방법은 작업치료운동치료와 병행하여 사용하면 더욱 시너지 효과를 볼 수 있습니다.

보조기 사용

  • 관절 및 근육 움직임을 보조하거나 손상을 최소화하기 위해 다양한 보조기를 활용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어깨 관절 탈구를 방지하기 위해 팔걸이를 사용하거나 보행 시 운동 능력을 증진시키기 위한 하반신 보조기를 착용할 수 있습니다.

개인별 맞춤형 재활

환자의 상태와 기능 수준에 따라 맞춤형 치료 계획을 설계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재활 초기부터 체계적으로 접근하면 운동의 효율성을 극대화할 수 있습니다.

초기 평가를 통한 계획 수립

  • 환자의 현재 상태를 평가한 후, 다양한 관절 운동 및 스트레칭 과제의 난이도를 조정합니다.
  • 기능 회복 정도에 따라 난이도를 점진적으로 조절하며 반복적인 수행으로 치료 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습니다.

다양한 재활 치료 통합

  • 지속적인 동기 부여를 위해 재활 운동에 다양한 방법이 통합적으로 사용될 수 있습니다.
  • 트레드밀 보행운동: 환자의 보행 능력 강화.
  • 가상현실 기술을 활용한 재활운동: 흥미롭고 새로운 접근 방식을 통해 치료 참여도를 높임.
  • 아쿠아 운동: 물속에서의 부력과 저항을 이용해 관절의 부담을 줄이고 안전한 재활 환경을 조성.

마무리: 운동재활이 주는 긍정적인 변화

관절운동스트레칭은 신경계 및 근골격계 질환 환자들의 재활에 있어 가장 기초적이면서도 중요한 부분입니다.

적절한 운동은 근육 약화 지연, 관절 유연성 유지, 그리고 독립적인 일상생활을 영위할 수 있도록 돕습니다.

체계적으로 설계되고 시행된 운동 프로그램은 환자들에게 건강한 삶독립성을 되찾아 줄 수 있습니다.


참고자료:

  • 신경근육계 질환 환자의 운동치료 - 강남세브란스병원 호흡재활센터
  • 분당서울대학교병원 뇌신경재활센터